스마트폰과 RFID를 이용한 u-테마파크 모델의 설계 및 구현
Retired DISLab
Title(Korean) | 스마트폰과 RFID를 이용한 u-테마파크 모델의 설계 및 구현 |
Title(English) | Using smart Phone and RFID Technology for making Ubiquitous Theme Park |
Authors | 신재명, 김두형, 안홍범, 박상원, 홍진표 |
Date | 2010.11 |
Keywords | 스마트폰, 테마파크, RFID, 유비쿼터스 |
Acknowledgement | |
SCI | |
Impact Factor | |
Publication Type | |
Publication Info | |
Conference Info | |
Volume | 17 |
Number | 2 |
Year | 2010 |
Month | 11 |
Pages | 1478~1481 |
Publisher | 한국정보처리학회 |
ISBN/ISSN | |
Link | |
Download | |
Related Research | |
Related Project | |
Abstract (Korean) | 기존의 테마파크에 RFID를 이용하면 보다 편리하게 출입관리를 할 수 있고, 카드 한 장으로 테마파크 내에서 결제부터 부대시설과 서비스까지 이용할 수 있다. 이러한 모델은 이미 서브원 곤지암리조트 스키장과 캐리비언베이 워터파크 등 에서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다[1][2]. 그러나 RFID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모델들의 공통적인 단점은 RFID 카드 사용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이다. 다시 말해서 RFID 카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는 모르기 때문에 자신이 RFID 카드로 무엇을 얼마나 결제했는지, 어떠한 서비스를 사용했는지 다시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.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시스템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테마파크를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줌으로써, 스마트폰을 통해 자신의 결제정보, 서비스 이용내역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할 수 있는 u-테마파크 모델을 제시한다. u-테마파크 모델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을 통해 부대시설(놀이공원의 놀이기구, 스키장의 리프트 등)의 대기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, RFID 카드를 소지한 일행의 위치를 찾을 수 있으며, 테마파크의 모든 이용객들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SNS(Social Network Service)등의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. 테마파크 측에서는 실시간으로 취합되는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이용률이 떨어지는 고객들의 특징을 파악해 해당 고객들에게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맞춤 마케팅을 하는 등의 체계적인 관리를 할 수 있어 다양한 마케팅과 새로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. |
Abstract (Engligh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