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LB를 통한 변동섹터 방식 FTL의 성능 최적화
Retired DISLab
Title(Korean) | SLB를 통한 변동섹터 방식 FTL의 성능 최적화 |
Title(English) | The Optimization for FTL Using Out-of-place Mapping with SLB |
Authors | 김상현, 최화영, 박상원 |
Date | 2009. 7. 1~3 |
Keywords | |
Acknowledgement | |
SCI | |
Impact Factor | |
Publication Type | Domestic Conference |
Publication Info | |
Conference Info | 한국정보과학회 2009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, 제주대학교 |
Volume | |
Number | |
Year | 2009 |
Month | 7 |
Pages | 418-423 |
Publisher | 한국정보과학회 |
ISBN/ISSN | |
Link | |
Download | |
Related Research | |
Related Project | |
Abstract (Korean) | 플래시 메모리가 임베디드 장치나 컴퓨터의 저장장치로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. 그러나 플래시 메모리는 덮어쓰기 연산이 되지 않는 물리적 특성이 있어 디스크와 같은 I/O장치를 플래시 메모리로 바로 대체할 수 없다. 이를 위해 FTL(Flash Translation Layer)이라는 소프트웨어 변환 계층을 사용한다. FTL 알고리즘 중 복사블록기법이나 여유영역기법 등은 변동섹터(out-of-place) 방식을 사용하고 섹터 맵을 유지하지 않는다. 이러한 FTL은 원하는 섹터를 찾기 위해 추가적인 연산이 발생하는데, 본 논문은 섹터 맵의 일부를 캐싱하는 SLB(Sector Lookaside Buffer)정책을 두어 효과적인 읽기 성능을 보이는 FTL을 제안한다. SLB는 엔트리 수에 따라 플래시 메모리의 블록 내 섹터에 대한 맵 정보를 메모리에 유지한다. 섹터 검색 시, 기존 맵 테이블에서 논리적 섹터 번호을 이용하여 물리적 블록과 섹터 위치를 찾기 전에 메모리에 있는 SLB에서 물리 섹터 번호를 먼저 찾음으로써 읽기 성능을 향상하였다. 이 SLB를 플래시 메모리 소프트웨어 계층에 적용함으로써, 플래시 메모리의 읽기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읽기 연산에 관련하여 높은 성능을 보인다. 본 논문에서는 SLB를 사용한 FTL를 구현하여 실험 결과를 나타내고 분석하여 플래시 메모리 저장장치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저장 기법을 제시한다. |
Abstract (Engligh) |